나혼자 코딩
Python 기본 문법과 변수, 데이터 타입 본문
Python을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와 데이터 타입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본 글에서는 Python의 변수 개념과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설명하고, 각 데이터 타입별 연산 결과를 비교해 보겠습니다.
1. 변수(Variable)란?
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. Python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자료형을 명시할 필요 없이, 값을 할당하면 자동으로 타입이 지정됩니다.
변수 선언 예제
x = 10 # 정수 (int)
y = 3.14 # 실수 (float)
name = "Alice" # 문자열 (str)
is_python = True # 불리언 (bool)
Python에서는 =
연산자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합니다.
변수 이름 규칙
- 영문자(A-Z, a-z), 숫자(0-9), 밑줄(_) 사용 가능
-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(예:
2name
❌,name2
✅) - 대소문자 구별 (
Name
과name
은 다른 변수) - 예약어 사용 불가 (예:
class
,def
,if
등)
2. 데이터 타입(Data Types)
Python의 주요 데이터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.
2.1 기본 데이터 타입
데이터 타입 | 설명 | 예제 |
---|---|---|
int |
정수형 데이터 | x = 10 |
float |
실수형 데이터 | y = 3.14 |
str |
문자열 데이터 | name = "Alice" |
bool |
참/거짓 값 | is_python = True |
2.2 컬렉션(Collection) 데이터 타입
데이터 타입 | 설명 | 예제 |
---|---|---|
list |
여러 값을 순서대로 저장 (변경 가능) | numbers = [1, 2, 3] |
tuple |
여러 값을 순서대로 저장 (변경 불가) | coordinates = (10, 20) |
dict |
키-값 쌍 저장 | person = {"name": "Alice", "age": 25} |
set |
중복 없는 데이터 저장 | unique_nums = {1, 2, 3} |
3. 데이터 타입별 연산과 결과
각 데이터 타입별로 +
연산을 수행하면 어떻게 될까요?
3.1 숫자형 연산 (int
, float
)
x = 10 # int
y = 3.14 # float
print(x + y) # 결과: 13.14
정수와 실수를 더하면 자동으로 float
형으로 변환됩니다.
3.2 문자열 연산 (str
)
s1 = "Hello"
s2 = "Python"
print(s1 + " " + s2) # 결과: "Hello Python"
문자열끼리 +
연산을 하면 이어 붙이기가 됩니다.
참고로, 숫자형과 문자열을 연산하려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..
3.3 리스트 연산 (list
)
list1 = [1, 2, 3]
list2 = [4, 5, 6]
print(list1 + list2) # 결과: [1, 2, 3, 4, 5, 6]
리스트끼리 +
연산을 하면 요소가 합쳐진 새로운 리스트가 생성됩니다.
3.4 튜플 연산 (tuple
)
tuple1 = (1, 2, 3)
tuple2 = (4, 5, 6)
print(tuple1 + tuple2) # 결과: (1, 2, 3, 4, 5, 6)
튜플도 리스트처럼 +
연산이 가능합니다.
3.5 딕셔너리 연산 (dict
)
dict1 = {"a": 1, "b": 2}
dict2 = {"c": 3, "d": 4}
dict1.update(dict2)
print(dict1) # 결과: {'a': 1, 'b': 2, 'c': 3, 'd': 4}
딕셔너리는 +
연산이 불가능하며, update()
를 사용하여 병합해야 합니다.
3.6 집합 연산 (set
)
set1 = {1, 2, 3}
set2 = {3, 4, 5}
print(set1 | set2) # 결과: {1, 2, 3, 4, 5} (합집합)
집합은 +
연산이 불가능하지만, |
(합집합), &
(교집합), -
(차집합) 등의 연산이 가능합니다.
마무리
이번 글에서는 Python의 변수와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다루고, 각 데이터 타입별로 +
연산을 수행했을 때의 결과를 확인했습니다.
다음 글에서는 제어문(조건문과 반복문)을 다뤄보겠습니다! 😊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의 예외 처리: try, except, finally 그리고 예외 정의하기 (0) | 2025.03.17 |
---|---|
Python의 주요 데이터 구조: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집합 (0) | 2025.03.12 |
Python 함수: 정의, 호출, 매개변수, 반환값 (0) | 2025.03.11 |
Python 제어문: 조건문과 반복문 (0) | 2025.03.08 |
Python 설치 및 실행 방법 (Windows, Mac, Linux) (0) | 2025.03.05 |